※ 본지는 의학계 발전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의학자들의 연구의지를 고취하고 우수한 연구성과를 공유해 보다 많은 의료진과 의학계 관계자들에게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의 진단과 치료는 물론 예방에 이르기까지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영향을 미칠수 있도록 매월 최근 연구논문 중 이 같은 목적에 부합하는 의미를 갖는 논문을 선정해 커버스토리로 논문전문과 저자의 연구 배경. 연구 과정과 성과를 게재한다.
암세포, RUNX3 유전자 기능 저하로 R-포인트 붕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4월 23일자 게재
[헬스앤라이프 송보미 기자] 헬스앤라이프저널이 선정한 2019년 6월호 <이달의 논문>은 배석철 충북의대 교수가 지난 4월 23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한 'RUNX3 regulates cell cycle-dependent chromatin dynamics by functioning as a pioneer factor of the restriction-point'이다.
연구팀은 암 재발 과정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정립을 위해 암세포의 비정상적인 세포분열과정에 주목했다. 세포가 분열 자극을 받으면 Rpa-RX3-AC 단백질 복합체를 형성하며 약 3시간 후 R-포인트 결정이 내려진다. 정상세포에서는 Rpa-RX3-AC 복합체가 Rpa-RX3-RE 복합체로 전환되고 세포분열 또는 세포분화를 시작하거나 Rpa-RX3-AC 복합체가 그대로 유지돼 세포는 사멸돼야 한다. 암세포에서는 RUNX3가 없어서 적절한 R-포인트 결정을 할 수 없게 되고 분열해서는 안 될 세포가 분열하고 죽지 않음으로써 암이 발생함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리더연구)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 출처 : NATURE COMMUNICATIONS (2019) 10:1897
https://doi.org/10.1038/s41467-019-09810-w
www.nature.com/naturecommunications
bmb@healthi.kr
#헬스앤라이프 #이달의논문 #네이처커뮤니케이션즈 #NATURECOMMUNICATIONS #충북의대 #배석철교수 #RUNX3 #R-포인트 #restriction-point
-헬스앤라이프는 인터넷신문윤리강령 및 시행세칙을 준수합니다.

관련기사
- ㄴ [이달의논문] Xpert MTB/RIF Assay as a Substitute for Smear Microscopy in an Intermediate-Burden Setting
- ㄴ [이달의논문] Upregulation of TGF-beta type I receptor by ICSBP in osteosarcoma cells
- ㄴ [이달의논문] Frontostriatal functional connectivity and striatal dopamine synthesis capacity in schizophreni
- ㄴ [이달의논문] Ets1 halts the onset of SLE by suppreccing Tfh2 cell differentiation
- ㄴ [이달의논문] Long-Term Exposure to Air Pollutants and Cancer Mortality: A Meta-Analysis of Cohort Studies
오늘의 뉴스